본문 바로가기
  • 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서울대학교2

매 순간순간 살아 숨쉬는 교육으로: ‘교육트렌드2022 집필팀’의 《대한민국 교육 트렌드 2022》, 에듀니티, 2021.를 읽고 매 순간순간 살아 숨쉬는 교육으로 - ‘교육트렌드2022 집필팀’의 《대한민국 교육 트렌드 2022》, 에듀니티, 2021.를 읽고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조를 주창한 교육학자들 가운데 한 명으로 손꼽히는 존 듀이(John Dewey)는 이런 말을 하였다. “교육은 삶을 위한 준비가 아니다. 교육은 삶 그 자체다.(Education is not prparation for life; education is life itself.)” 미래를 위한 교육이 아닌, 현재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것은 비단 듀이 뿐만이 아니다. 듀이 이전과 이후에 수많은 교육학자들이 살아가는 매 순간을 위한 교육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그러한 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지금도 교육은 국가와 사회의 핵심적인 지렛목으로 .. 2022. 1. 31.
한강의 기적을 일구어낸 대한민국, 시민이 주권자가 되는 복지국가로 한강의 기적을 일구어낸 대한민국, 시민이 주권자가 되는 복지국가로 ‘윤홍식’의 《이상한 성공》, 한겨레출판, 2021.을 읽고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신대한 인하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연구하며 가르치는 윤홍식 교수는 여러 시사 프로그램 그리고 본인의 저서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며 오늘날 대한민국의 방향성을 성공에서 복지로 재조정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그가 저술한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 1~3》은 복지국가로서 한국이 걸어온 길을 집중조명하며 수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을 안겨다 주었다. 해당 시리즈에 이어 본 작품에서 윤홍식 교수는 지금의 한국이 불평등한 복지국가가 된 근본적 배경과 앞으로 나아갈 길을 다각적인 구도로 제시한다. 어느 덧 5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국민들이 힘을 모아 평화.. 2021. 9. 12.